Philippe Cognee: 필립 꼬네

This is the second solo show for Philippe Cognée at Johyun Gallery. His first was last year, when he represented the gallery at the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KIAF). Cognée’s style, which emerged during the blossoming of the new figurative painting of the early ’90s, is to paint the landscapes and ordinary objects around us with a photographic vision combined with a wax medium. His technique of using wax mixed with pigment comes from an ancient Greek painting tradition. Colors made with wax are considered to last forever with no yellowing. Wax is also water- and mothproof. Oil painting later supplanted wax painting because of its ease of employ.

 

When looking at one of Cognée’s paintings, the spectator feels at once familiarity, because of its recognizable themes, and distance from reality, because of its wax medium. The artist, after having mixed wax with pigments and applied it to the canvas, lays a thick sheet of plastic onto the painting and then irons over it with a hot iron, making the painted forms melt into one another. When the wax has cooled and the sheet of plastic taken off, “scars” remain here and there on the surface of a painting that is otherwise completely smooth like the surface of a photo. Cognée’s paintings, inspired by his own photos and videos, are a strange mixture of distorted and lost time with the accident of a particular artistic material. They express a hardcore realism and a riddle-like imagery in which the most ordinary things seem strange.

 

For this exhibition, Cognée presents three series: “A Crowd,” in which painted people come together on a plaza almost like shadows; “Google,” urban landscapes based on images of people downloaded from www.earth.google.com; and “Supermarket,” consisting of supermarket interiors with their shelves full of groceries. Each of Cognée’s works expresses a vertiginous, fleeting shadow of us and our daily city vistas in which the painted wax seems to melt like snow under a hot sun or in an extreme photographic perspective or skewed horizon line. Although the artist is limited by the technical demands of his medium — a quick drying wax that he must apply while it remains hot and liquid — he succeeds in painting recognizable details in deconstructed forms thanks to his exquisite control of accident.

 

When he was a child, Cognée told himself that he would paint everything he saw. In his thirties he wanted to paint the world where he lived: “This universe presents accumulation, infinity, order, chaos, the laughable, and the fragile.” Philippe Cognée, born in 1957, in Nantes, France, spent his childhood in Benin, a country of Western Africa. Today he lives outside of Nantes.

 

2006년 KIAF 조현갤러리 부스에서 첫 한국 개인전을 가진 프랑스 화가 필립 꼬네의 두번째 개인전이다. 전시 제목 <트러블>은 문제, 혼란, 장애, 분쟁 등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화가가 바라본 현대 사회, 그것을 표현하는 제작 방법, 그의 회화를 바라보는 관객이 치러야 할 시각적 인식의 혼란을 전체적으로 아우른다. <트러블> 전은 새로 지어진 조현화랑 공간에 맞추어 제작된 대작 “슈퍼마켓”(200×450 cm)과 “구글” (175x450cm)을 위시하여 총 20 여점의 최근작을 선보인다.

 

신구상의 부상 속에서 1990년대 초부터 주목을 받기 시작한 필립 꼬네는 밀랍화 기법과 사진적 시각을 결합하여 주변의 일상적인 사물과 풍경을 그린다. 고대 희랍에서 유래한, 밀랍과 안료를 섞어서 그리는 기법은 색채의 변질이 없고 뛰어난 방수, 방충 효과로 영원한 회화 기법이라고 불리지만, 사용이 훨씬 간편한 유화의 발명 이후 거의 보기 힘들게 되었다. 필립 꼬네의 경우, 그의 이미지들이 단번에 이름할 수 있는 친밀한 것이면서도 현실에서 차단된 느낌을 주는데, 이것은 전적으로 밀랍화 기법 때문이다. 작가는 안료와 밀랍을 섞어 그린 후, 그 위에 두꺼운 프라스틱을 덮고 다리미로 가열하여 그려진 형태들을 뭉개버린다. 녹았던 밀납이 다시 식은 후 떼어진 플라스틱은 군데 군데 ‘상흔’을 남기면서 그림 표면이 마치 사진 표면처럼 매끄럽게 되도록 한다. 작가가 직접 촬영한 사진과 비디오 이미지를 바탕으로 그려진 그의 그림들은 견고한 사실주의와 특이한 회화적 마티에르의 우연성, 일그러지고 소멸해가는 시간성이 묘하게 결합되어 가장 평범한 것을 낯설게 만들어 버리거나, 수수께기 같은 이미지로 제시한다.

 

<트러블> 전은 슈퍼마켓의 풍경, 도시의 조감 풍경, 군상 그리고 두개골을 소재로 한 정물 시리즈들을 선보인다. www.earth.google.com에서 다운받은 도시 이미지에 기초하여 그린 새로운 시각의 (인공위성이 본 대지) 도시 풍경 “구글” 시리즈 에서는 고밀도의 대도시를 조감된 뷰와 회화의 밀도로 표현했다. 온갖 생활 잡화가 종류별로 쌓여있는 대형마트의 실내 풍경 “슈퍼마켓” 시리즈는, 물건들의 집적과 반복을 이미지의 반복으로 연장하면서 거의 비슷한 두 개 혹은 세 개의 이미지를 나열하여 시각적 ‘트러블’을 심화했다. 사진적 시각에서 과장된 원근법, 기운 수평선, 녹아 내리는 듯 뒤섞인 안료와 밀납이 도시민의 흔한 주변 풍경을 소멸하는 그림자로 현기증 나게 표현한다. 밀납이 뜨거울 때 재빠르게 그려야 하는 기술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재료의 우연성을 절묘하게 컨트롤하여 해체된 형태 속에서도 이름할 수 있는 디테일들을 보여준다.


한편, 두개골은 서양회화에서 전통적으로 중요한 소재이다. 죽음에 대한 명상의 소도구로 등장하던 해골은 17세기에 이르러, 단독적인 주제로 삶의 덧없음을 표현한 정물화 “바니타스 Vanitas” 의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되었다. 보다 근대에 이르러 세잔느와 피카소의 두개골 걸작이 있으며, 바스키아, 리히터, 다미안 허스트도 이 시대에 대표적 해골 이미지를 남겼다. 최근에는 시사적이고 패션적인 측면에서 해골이 인기 소재로 등장하고 있기도 하다. 필립 꼬네는 전통적인 회화 소재로서 두개골을 다루고 있으며, 생명이 사라지고 난 후에도 단단하게 남아있는 백골조차 그의 회화에서는 문들어져 내리듯 표현되어 ‘트러블’이 한층 강조되어 있다. 하지만 그것은 배경의 화려한 빛과 대조를 이루거나 금지, 경계, 주의를 상징하는 검은 줄무늬 앞에서 을씨년스럽기 보다는 명상의 대상으로 드러난다. 꼬네 특유의 반복, 나열 방식은 그의 작업 전반에 드러나는 대량 생산과 소비의 현대 사회를 표현하는 이미지이다.


소년시절 “보이는 것은 모두 그리겠다”고 결심했던 꼬네는 30여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자기가 처한 세계를 그리고 싶은 욕망을 이야기한다 : “그 세계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것이 집적된 세계이고, 질서, 혼돈, 나약함과 가소로움을 동시에 보여주는 세계이다.” 1957년 프랑스 낭트에서 출생한 필립 꼬네는 서부 아프리카 베닌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현재 낭트 근교에서 살고 있다.

 

조현화랑은 이번 전시를 기하여 프랑스 평론가 필립 피게의 평문과 전시 작품, 전시 설치뷰 등을 실은 50여 페이지의 카탈로그를 8월 중순경 발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