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서보 (1931 - 2023)
단색화의 기수로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주도했던 박서보의 작업세계는 크게 네 가지 시기로 구분 지을 수 있다. 57년에서 60년대 중반까지의 원형질시대, 60년대 중반에서 70년까지의 유전질시대, 70년대 초반에서 80년대 후반으로 이어지는 묘법시대, 그리고 80년대 후반에서 현재까지의 후기 묘법시대이다. 묘법(猫法)이란 ʻ 그린 것처럼 긋는 방법’이라고 풀이되며, 프랑스어 ‘Ecriture’는 ʻ쓰기’란 의미를 지닌다. 제목과 같이 묘법은 선을 긋는 행위의 결과물이다. 캔버스를 물감으로 뒤덮고 그것이 채 마르기도 전에 연필로 선을 긋고, 또 물감으로 지워버리고, 다시 그 위에 선을 긋는 행위를 되풀이하는 과정과 결과가 바로 작품이다. 여러 겹의 축축한 한지를 젤 미디움을 써서 캔버스에 정착시킨 뒤, 표면을 다시 수성안료로 촉촉하게 만든 후, 손이나 막대기로 수차례 긋는다. 손이나 막대기로 그어 내려간 한지 작품은 가까이서 보면 한지 특유의 질감이 자연스럽고 우연적으로 나타나 있다. 회화의 행위성이 끝나면서 작품도 끝난다는 서구의 방법론을 넘어 시간이 개입되면서 변화의 과정을 거친뒤에야 완성에 이른다는 동양 회화의 세계를 잘담아냈다. 작가는 랑앤 파운데이션, 화이트 큐브, 베니스 비엔날레, 삼성미술관 리움, 부산 시립미술관, 리버풀 테이트 갤러리, 뉴욕 브루클린 미술관, 등의 다수의 전시에 참여해왔다. 그의 작품은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홍콩 M+ 미술관, 아부다비 구겐하임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도쿄 현대미술관과 같은 국내외 주요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김종학 (b.1937)
특정한 대상이나 조형 양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하는 김종학 작가는 꽃의 화가로 불린다. 자연을 통해 만날 수 있는 아름다움을 작품의 주제로 삼는다. 이름 모를 곤충들과 새, 야생화들이 자신을 기쁘게 해준다고 말하는 작가는 시간이 날 때면 그것들과 조우하고 이미지를 머릿속에 넣은 후 작업실로 돌아와 캔버스에 옮긴다. 단순히 자연을 묘사하기 보다는 작가만의 애정을 바탕으로 한 재해석의 과정을 통해 추상이 뒷받침된 구상의 방식으로 재탄생 시킨다. 김종학은 1980년대부터 설악산의 자연을 그리기 시작했다. 설악산은 계절마다 다른 4개의 이름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계절별 특성이 뚜렷하다. 산에서 오랜 시간을 지내온 작가에게 계절의 색채를 연구하고 작품화 한 시도는 어쩌면 당연하다. 김종학 작가는 1964년 첫 개인전을 신문회관 화랑에서 열었고, 1965년 제5회 파리비엔날레에 작품을 출품했다. 설악동에작업실을 마련하고 구상 계열의 작품에 몰입하기 시작한 이후, 1985년 원화랑에서의 개인전을 시작으로 국내외 주요 미술관 및 갤러리에서 작품을 선보였다. 2011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의 회고전과 2018년에는 일본 도쿄의 토미오코야마 갤러리와 프랑스 파리 기메 박물관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2019년 프랑스 파리의 페로탕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가졌고, 2020년에는 부산시립미술관에서의 대규모 회고전을 열었다. 그의 작품은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호암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리움삼성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동양미술박물관-기메(파리) 등 국내외 주요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배 (b.1956)
이배 작가는 30여년 동안 숯이라는 재료와 흑백의 서체적 추상을 통해 한국 회화를 국제무대에 선보이고 있다. 1989년 도불 이후 서양 미술재료 대신 한국인들에게 친숙한 재료인 숯을 작품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작품에는 숯이 가지고 있는 삶과 죽음, 순환과 나눔 등의 태생적 관념 위에 작가 특유의 예술적 상상력이 더해진다. 작가는 숯을 이용해 드로잉, 캔버스, 설치 등의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해오면서 자신의 영역을 확장시켜왔다. 캔버스 위에 절단한 숯 조각들을 빽빽하게 놓고 접합한 후 표면을 연마해낸 이슈드푸(Issu du feu), 숯가루를 짓이겨 미디엄을 사용해 화면에 두껍게 안착시킨 풍경(Landscape), 목탄에서 추출한 검은 안료로 캔버스 위에 형태를 그리고 밀랍 같은 두꺼운 재료를 여러 번 덮은 작업인 아크릴미디움(Acrylic medium), 숯가루가 섞인 먹물로 다양한 형태의 붓질 그대로를 보여주는 붓질(Brushstroke), 숯 자체 또는 브론즈로 보여주는 조각 시리즈 등이 있다. 그는 숯을 사용하는 이유가 그 안에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거대한 자연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작가는 베니스 비엔날레, 뉴욕 록펠러ᅠ센터ᅠ채널ᅠ가든, 프랑스 기메 미술관, 페르네브랑카 파운데이션, 대구미술관, 생테티엔 현대미술관, 베이징 투데이 아트미술관 등 다수의 전시에 참여했다. 2000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하고, 이후 2009 파리 한국문화원 작가상, 2013년 한국미술비평가협회 작가상, 2018년 프랑스 문화예술 훈장 기사장을 받았으며, 2023년에는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을 수여받기도 하였다. 현재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시립미술관, 리움미술관, 마그파운데이션, 프랑스 파리 기메 박물관, 스페인 쁘리바도 알레그로 재단, 바루 재단을 포함한 국내외 주요 미술관에 소장되어있다.
김택상 (b.1958)김택상은 30여 년에 걸쳐 ‘물’이라는 매체를 통해 색의 번짐과 침착, 겹침을 실험해온 작가다. 바닥에 눕힌 캔버스 위에 극소량의 안료를 푼 물을 붓고 말리는 반복적인 작업은 수행적이면서도 치유적인 ‘보살핌의 미학’을 드러낸다. 수십 차례의 층위를 쌓아가는 행위는 화면에 미세한 간극을 만들고, 빛을 산란시켜 깊이와 밀도를 부여한다. 마치 자연이 스스로 그려낸 듯 은은하고 담백한 색감을 띤 그의 회화에 대해 작가는 ‘맑을 담’ 자를 써서 ‘담화(淡畵)’라 명명한다.1990년대 초 정치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작업에서 출발한 그는, 옐로스톤 화산 분화구의 물빛에 매혹되며 예술적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후 자연의 구조—물, 공기, 빛, 중력—를 작업실로 끌어들여 자신만의 조형 방식을 구축하며 물질성과 감각, 개념과 자연을 잇는 회화 세계를 펼쳐왔다. 눈에 띄는 대비보다 분간하기 어려운 유사성과 떨림, 그리고 빛의 진동을 담는 그의 회화는 단색화의 계보 속에서 논의되면서도, 자연과 인간, 매체와 인식의 관계를 섬세하게 탐색해온 독자적인 사유의 여정을 보여준다.작가는 중앙대학교 회화과에서 학사를, 홍익대학교 서양화과에서 석사를 마쳤으며, 국립현대미술관, 금호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키시오 스가 (b.1944)
일본의 모노하(もの派, mono-ha) 운동을 이끈 키시오 스가는 나무, 금속, 돌, 종이, 로프, 콘크리트, 왁스, 비닐 등의 물체를 가공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공간 안에 배치하여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작업한다. 물체와 물체, 물체와 공간 사이의 중간 영역을 조율하는 방식으로 작품에 개입하며, 회화나 조각이라는 기존의 예술 장르를 넘어 일종의 풍경을 통한 유동적 관계를 경험케 한다. 그는 1964년부터 1968년까지 도쿄의 타마미술대학교를 다녔으며, 당시 아르테 포베라, 랜드아트 등의 국제적 흐름에 영향을 받은 노부오 세키네, 지로 타카마츠와 같은 젊은 예술가들과 함께 모노하를 탄생시켰다. 졸업 직후 자연과 사물을 이용한 일시적인 구성물을 만들기 시작했으며, 이를 도쿄의 야외 장소에 배치하여 "필드워크"라는 용어로 정의했다. 그는 이러한 활동을 실내 환경으로 옮기며, 파라핀 왁스로 만든 토템 모양의 "평행 지층" (1969)이나, 세로로 놓인 강철 판 네 장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인 "소프트 콘크리트" (1970)과 같은 전례 없는 설치 작품으로 인정을 받았다. 제8회 파리 비엔날레, 제38회 및 제57회 베니스 비엔날레에 작품을 선보인 그는 지난 40년동안 파리의 국립 현대 미술 센터, 뉴욕의 구겐하임 미술관, 샌프란시스코 현대 미술관, 뉴욕 현대 미술관, 베니스의 푼타 델라 도가나 등 유수의 미술관의 주요 전시에 참여했으며, 최근에는 뉴욕의 Dia: Chelsea와 밀라노의 피렐리 행거비코카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 그의 작품은 현재 다양한 공공 및 사립 컬렉션에 포함되어 있다.
이우환 (b.1936)
이우환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61년에 니혼대학 문학부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1968년부터 1975년 사이 일본 도쿄에서 전개된 모노파의 이론과 실천을 주도하며 주목받기 시작했고, 이후 모노파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인물로서 국제적 명성을 얻고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점과 선의 대가'로 불리는 그의 초기 작품들은 점이 선이 되고 나아가서는 아무것도 아닐 수 있다는 동양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의 작업은 ‘획’이 지닌 의미와 그려지지 않는 여백을 이해해야 한다. 획에는 무한한 순간 속에 정지한 듯, 고요한 가운데 움직이는 듯 정중동, 생동감, 기가 흐른다.
파리비엔날레, 상파울루비엔날레, 카셀도큐멘타 등 권위 있는 국제전에 참여하여 큰 호응을 얻었으며, 뒤셀도르프시립미술관, 루이지아나미술관, 밀라노 현대미술관, 일본 하라현대미술관, 가마쿠라근대미술관에서 대규모 개인전을 가졌다. 일본 나오시마에는 이우환 미술관이 설립되었다. 그의 작품은 파리 퐁피두미술관, 베를린국립미술관, 뉴욕 근대미술관, 도쿄 국립근대미술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호암미술관등 유수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Park Seo-Bo (1931 - 2023)
Park Seo-Bo was a seminal figure in Korean contemporary art. He was one of the founding members of the Dansaekhwa movement, which emerged in the early 1970s post-war Korea and has since gained international recognition. In the late 1960s, Park began the ‘Ecriture’ series by repeating pencil lines over wet monochromatic painted surfaces. Later, he expanded the languag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and color. The work is brought into being through the process of repetitive actions of pasting, scraping, scratching, and rubbing. It delicately balances drawing and painting in a quest for emptiness through reduction. Park’s work has been exhibited internationally, including: Museum of Fine Art, Boston, United States; the Venice Biennale, Italy; Samsung Museum of Art, Seoul, South Korea; Singapore Art Museum, Singapore; Kunsthalle Wien, Vienna, Austria; Tate Liverpool, United Kingdom; Brooklyn Museum, New York, United States; and Expo 67, Montreal, Canada. Park’s work is included in the collections of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United States; M+, Hong Kong, China; Guggenheim Abu Dhabi, UAE;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South Korea; and the K20, Kunstsammlung Nordrhein-Westfalen, Düsseldorf, Germany.
Kim Chong Hak (b.1937)
Kim Chong Hak, often referred to as Flower's Painter, is celebrated for his abstract art that emphasizes the inherent beauty of nature. His creative process involves internalizing the joy found in nature and reimagining it onto canvas. In the 1980s, Kim immersed himself in the Seoraksan Mountain, both in theme and living, inspired by its distinct seasonal traits, with a different name for each season. He still speaks fondly of his time in the mountains and his artistic expression of the seasons' colors. His work has been featured in major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projects, including: the Busan Museum of Art, Busan, South Korea; Vitality at Galerie Perrotin, Paris, France; Musée Guimet, Paris, France; SeMA Nam Seoul Living Art Museum, Seoul, South Korea; Whanki Museum, Seoul, South Korea; Ewha Museum, Seoul, South Korea; Kumho Museum, Seoul, South Korea. Kim Chong Hak’s work is in the permanent collections of many museums,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South Korea;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South Korea;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South Korea; Seoul Museum of Art, Seoul, South Korea; and Busan Museum of Art, Busan, South Korea. Currently, the Kim Chong Hak Museum is in plans to be built in Busan, South Korea, whereas the Architect Kengo Kuma participates as a designer.
Lee Bae (b.1956)
Lee Bae focuses on the expressive potential of charcoal as a medium. Over the course of three decades, Lee has dedicated himself to creating a diverse range of iterations of Korean painting through his use of charcoal and abstract forms that are self-sufficient and rich in spiritual and energetic qualities. By exploring immanent notions such as yielding, respiring, and circulation, which are embodied by charcoal as a material, Lee's work resonates with themes of life and death, absence and presence, light and shadow, form, and emptiness. Lee's oeuvre spans a wide range of mediums and forms, from drawings to canvas-based works, as well as installations, with each new work serving to expand upon his unique vision and approach. Lee’s works have been featured at museums and institutions worldwide including: Venice Biennale, Rockefeller Center, New York, Phi Foundation, Montreal, Canada; Indang Museum, Daegu, South Korea; Wilmotte Foundation, Venice, Italy; Fondation Maeght, Saint-Paul de Vence, France; Musée des Beaux-Arts, Vannes, France; and Musée Guimet, Paris, France. Among many others, Lee’s work is in the permanent collections of museums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South Korea; Seoul Museum of Art, Seoul, South Korea; Leeum-Samsung Museum of Art, Seoul, South Korea; Fondation Maeght, Saint-Paul de Vence, France; Musée Guimet, Paris, France; Baruj Foundation, Barcelona, Spain, and Privada Allegro Foundation, Madrid, Spain.
Kim Taek Sang (b.1958)
Kim Taek Sang has been experimenting with the diffusion, sedimentation, and layering of color for over three decades through the medium of water. His process is iterative—mixing trace amounts of pigment into water, pouring the solution onto a canvas laid flat, then allowing it to dry. Repeated dozens of times, this practice is both ascetic and curative; he has come to describe it as the aesthetics of care. This delicate layering of sediment on canvas creates subtle interstices that scatter light and permeate the surface with depth and density, evoking nature's own palette of serene and understated hues. Kim describes his creations as dàamhwa (淡畵 - dàam painting), where dàam carries meanings of clear, delicate, faint, or thin in tint.Kim's earliest works in the early 1990s contained commentaries on socio-political issues, but he experienced an artistic turning point when he was captivated by the prismatic waters of the Yellowstone Caldera. Through this encounter, he began incorporating natural elements—water, air, light, and gravity—into his studio practice, developing a distinctive visual language that bridges materiality and the senses, concept and nature. Kim's works avoid overt contrasts, favoring elusive similarities, subtle oscillations, and minute pulses of light. While his work is discussed within the lineage of Dansaekhwa, his practice stands apart, reflecting a deeply personal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nature, humanity, medium, and perception.Kim holds a B.F.A. in Painting from Chungang University and an M.F.A. in Western Painting from Hongik University. His works are included in the collections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Kumho Museum of Art; Leeum Museum of Art, Seoul, South Korea and Suwon I'Park Museum of Art, Suwon, South Korea.
Kishio Suga (b.1944)
Kishio Suga is a Japanese artist known for pioneering site-specific installation art. He created ephemeral arrangements of natural and man-made materials in outdoor and indoor settings, gaining recognition for groundbreaking installations like "Parallel Strata" (1969) and "Soft Concrete" (1970). As part of the Mono-ha movement, he used unaltered natural and industrial materials to explore the interplay between elements, space, and materials. Since the mid-1980s, Suga has adapted his installations to new sites while maintaining their core concepts. His diverse practice includes assemblages, works on paper, and performances called "Activations." He is also a prolific writer, with novels, essays, and a screenplay to his name. Suga has had numerous solo exhibitions at international museums, most recently at Dia: Chelsea, New York, United States (2016–17), Pirelli HangarBicocca, Milan, Italy (2016), and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kyo, Japan (2015). A re-creation of his iconic installation Law of Situation (1971) was presented at the 57th Venice Biennale, Italy (2017). Over the past four decades he has been featured in landmark exhibitions at the Centre Georges Pompidou, Paris, France; the Guggenheim Museum, New York, United States; the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San Francisco, United States;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United States; the Punta della Dogana, Venice, Italy; and his work is included in many public and private collections. Kishio Suga held a solo exhibition at Dia Beacon in New York in July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