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rn in 1945, Busan, South Korea
Lives and works in Seoul, South Korea
Cha Ouhi is an artist who has practiced a nomadic life for over four decades, moving between Korea and Germany. Since relocating to Berlin in 1985, she has persistently crossed boundaries, engaging in intense existential struggles. Her work, where the vigorous energy of German Expressionism meets the profound spaciousness of East Asian ink painting, creates compositions imbued simultaneously with tension and balance.
Her signature series, Ship of Odyssey, treats the canvas as both sail and map, arranging compressed symbols and characters amidst stark black-and-white contrasts. The deep, mysterious layers of yellowish backgrounds embody the accumulation of time, while the drifting, irregular forms—arrows, question marks—evoke childhood memories rooted in the numbered boats of Busan’s harbor and float across the canvas like a soul’s voyage toward the unknown. These symbols and compositions, which minimize the artist’s subjective imprint and highlight the intrinsic presence of things, permeate a distinctive aesthetic that fluidly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Cha Ouhi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exhibitions, including at Jin Gallery in Seoul, Korea; Galerie Georg Nothelfer in Berlin, Germany; Gallery Shirota in Tokyo, Japan; Nagoya City Art Museum, Japan; and the Venice ‘Asiana’ Group Exhibition, Italy and the Sydney Biennale, Australia. Her works are held in major public collections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Samsung Museum of Art, Leeum, Seoul, Korea; Berlinische Galerie, Berlin, Germany; and the Museum of Prints and Drawings, Berlin, Germany.
차우희는 40여 년간 한국과 독일을 오가며 노마딕한 삶을 실천해온 작가다. 1985년 베를린으로 떠난 이후, 끊임없이 경계를 넘나들며 치열한 실존적 투쟁을 이어왔다. 독일 표현주의의 강렬한 에너지와 동양 수묵의 깊은 여백미가 만나는 그녀의 작업은 화면 속에 긴장과 균형이 동시에 살아 있는 구조를 만들어낸다.
대표작 <오딧세이의 배> 연작은 캔버스를 돛이자 지도처럼 삼아, 흑백의 강렬한 대비 속에 압축된 기호와 문자를 배치한다. 깊고 불가사의한 여러 층의 누런 바탕은 시간의 축적을 머금고, 그 위를 표류하는 화살표와 물음표 같은 비정형적 형상들은 부산 포구의 배 번호에서 비롯된 유년의 기억이자, 미지의 세계를 향한 영혼의 여정 처럼, 화면 곳곳에 부유한다. 작가의 주관적 흔적을 최소화하고 사물 본연의 존재감을 부각시키는 이러한 상징과 구성은 시공간의 경계를 유연하게 넘나드는 고유한 미학으로 스며든다.
작가는 진화랑, 서울, 한국; 갤러리 게오르크 노텔퍼, 베를린, 독일; 갤러리 시로타, 도쿄, 일본; 나고야시립미술관, 일본; 베니스 'Asiana' 그룹전, 이탈리아; 시드니 비엔날레 호주 등의 다수 전시에 참여해왔다. 그녀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 삼성미술관 리움, 서울, 한국; 베를리니셰 갤러리, 베를린, 독일; 베를린 판화미술관, 베를린, 독일과 같은 국내외 주요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