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TATION: 정창섭

curated by Kim Yongdae
Johyun Gallery, Busan will be holding a solo exhibition of Chung Chang-Sup. This exhibition will be Chung Chang-Sup’s 4th solo exhibition in Johyun Gallery starting from his first solo exhibition in 1994, and is an exhibition that has not been held domestically for 5 years since his retrospective exhibi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2010. Being able to have works of Chung Chang-Sup which pursues the sheer identity of Korean contemporary art, and to have works of Chung Chang-Sup from different point in time in one place will truly indulge one with a meaningful experience.

 

Chung Chang-Sup was persistent in his inquiry with the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elements such as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the east and the west, the intangible and the tangible, where distinct opposite objects meet a mutual concurrence. Chung Chang-Sup has emptied himself, living a life of namelessness and silence to draw from the innate vitality of Tak,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Hanji paper. The use of Tak seeds life to his work and establishes a distinct art world. Oddly enough, the artist calls Hanji paper (韓紙) as cold paper (寒紙)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homonym once spoken in Korean. The reason for doing so comes from his opinion that winter is the perfect season to make Hanji paper. His tenacious research, creation and affection for Hanji paper brought him to become known as “The Tak Artist” as well as “The pioneer in Hanji paper works”. Differing from the traditional means of ‘drawing Tak’ as they say in Korea, Chung Chang-Sup alternates from using oil, ink, and paint to let the his breath and temperature permeate through his work. He repeats particular hand gestures and motions to express his persona. Depending on the time that the Tak was soaked in water, it changes the brightness and the saturation of colour. Through this process there has been endless exploration on how colour can be expressed through such medium. By the time water has completely soaked through the Tak and cause it to lose all its strength, Chung Chang-Sup claims that the material reaches a state where its characteristic quality can be expressed ot the fullest.

 

From the early 1950’s to the early 1970’s Chung Chang-Sup’s work conveyed states of current affairs of the time as well as the state of people’s minds. He often utilised oil paints with hues of red and blue to build an impression of a thick texture, which was most often a typical characteristic of his work. It was during the mid 1970’s when Chung Chang-Sup first met “Tak” in search for a different material (He did not enjoy the glutinous texture of oil paint). But in his early series “Return”, Hanji Paper was used as something to paint on, unlike his more recent works, where he draws forth from the characteristics of its property. At first, his preliminary stage consisted of exploring and experimenting different methods such as letting the ink get soaked on the canvas or flicking ink upon it. Subsequently he began to discard his tools, and started to express his work through the properties of the paper itself.

From 1980, the objects of his work began to lose form completely, even causing the frames of the canvas to lose their structure. Such process continued until the composition of “Tak” became one with the canvas. Initially his work was composed of single colours that elicit senses of solidarity and inexpressiveness, with predominant colours of light brown and beige with tinges of yellow. His follow up series displayed much clearer and apparent squares compared to the works from the 1980’s, with the appearance of more solid colours. Compared to his early series, his work became softer and more frequent with colours that contradict the intrinsic colour of Tak. In the 1990’s nearing to the year 2000, the squares from his series became deeper and the contrasting elements of Tak became more distinct. The properties of Tak became more firm and refined as time went by, internalising into a transparent state which reinforced the overlying leitmotif of the artist.

 

As a return from a long absence of his domestic exhibition, Johyun gallery will display 30 pieces of Chung Chang-Sup’s work with a combination of pieces from the series of the 1980’s and of the series that followed through from the 1990’s to the year 2000. With the artist’s careful nurture of tapping and shaping the light brown Tak with his hands, it exposes the Tak’s true property in all its grandeur. With the light intensified onto such works that bear the nature woven colours of Korea, Chung Chang-Sup’s art piece monopolises themselves in the white exhibition hall. Its tranquil but vigorous illustration makes their colours stand out, offering a subdued scent and look. Through this exhibition, we hope to show the artist’s consistent pursuit of dualities in heterogeneous elements. With an overflow of so many different mediums and colours in art, Tak brims with the simplicity of nature and Korean aesthetic beauty and the muted blank space charms the eyes that beholds them. Straying from western rationalism, his work appertains to oriental intuition that expresses Korean traditional sentiments and beauty which allows us insight into Korean contemporary art, as well as being a prominent foundation of it. One could say that his work holds an extensive magnitude of history in Korean contemporary art.

 

2015년 7월 10일(금)부터 8월 30일(일)까지 조현화랑 부산에서는 정창섭 개인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010년 국립현대미술관 회고전 이후 5년 만에 열리는 국내전시이며, 조현화랑에서는 1994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4번째 열리는 개인전이다.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을 끊임없이 모색해온 정창섭 작가의 시대별 작품이 한자리에 전시되어 한국추상미술의 역사를 볼 수 있는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이다.

 

정창섭 작가는 평생을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정신과 물질 등 이질적 개념이 합치 되는 물아합일(物我合一)의 세계를 추구해 왔다. ‘한지(韓紙)’의 원료인 ‘닥’이라는 물질이 지닌 고유의 생명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 자신을 비우고 침묵과 무명의 상태를 전제로 하여, ‘닥(楮)’을 주재료로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해왔다. 작가는 특이하게도 한지(韓紙)를 ‘한지(寒紙)’ 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한지야말로 추운 겨울에 만들어야 제격이라고 하며 한지에 대한 남다른 애정과 끊임없이 탐구가 있었기에 지금의 우리는 그를 ‘닥의 작가’, ‘한지작업의 선구자’ 라고 한다. ‘닥’을 ‘그리는’ 이라는 기존 회화 관습에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유채 또는 먹, 물감의 대체물로 작가의 호흡과 체온이 스며들도록 손의 행위와 동작을 반복하여 본연의 모습을 표현했다. 물에 불려진 시간에 따라 명도와 채도가 변화하고 그로 인해 다양한 색감이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끝없이 탐구했다. 물에 젖어 걸쭉해진 종이가 완전히 그 힘을 상실했을 때 작가는 비로소 ‘닥’이 가지는 물상 그 자체의 특성을 확보하게 된다고 한다.

 

1950년대 초에서 70년대 초반까지의 정창섭 작품은 당시의 시대적, 정신적 상황이 반영 되어 주로 붉은색과 청색의 단색 유채를 사용해 두터운 마티에르의 강하고 거친 느낌을 주는 작품이 특징이었다. 그러나 끈적거리는 느낌이 싫어서 다른 것을 찾던 중 ‘닥’을 만난 건 1970년 중반이었다. 다만 초기의 <歸(귀)>시리즈 작업에서의 한지는 본격적인 물성의 표출보다는 단순히 화지로 사용되었다. 일종에 번짐 효과에 대한 실험적인 작업으로 수묵의 번지기, 튕김과 같은 드로잉 작업이었으나, 오래 지속되지 않고 오히려 수묵과 붓 마저 버리고 종이가 가지는 본래의 물성 그대로를 표현으로 전환하였다. 1980년부터는 물체의 형상도 완전히 사라지고 지지대로서의 캔버스 조차도 사라져 온전한 ‘닥’의 본래 모습이 캔버스와 혼연일체가 되어 나타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단단하고 무표정의 모습으로 연한 황갈색에서 노랑기가 있는 베이지 색채 등 모두 단색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그 후 1990년을 전후해서 나타난 <묵고>연작은 80년대 작품보다 뚜렷한 사각의 형태와 초기엔 먹색, 청색 위에 붉은색, 회색 등 한가지 단색이 더 입혀졌다. 초기 작업보다 더 부드러워지고 닥의 본래색과 대조되는 단색도 나타났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90년대의 <묵고>시리즈의 사각형 형태가 깊어지고 ‘닥’이 주는 음과 양의 대조가 뚜렷이 나타나며, ‘닥’ 의 물성이 더욱 견고하고 단아한 모습의 투명화된 형태로 내재화되어 있어 작가가 구축해온 물아합일의 사상이 심화되어 표현되었다.

 

국내전시로는 오랜만에 보여지는 정창섭 작가의 이번 조현화랑 개인전에서는 1980년대 <>시리즈 작품과 9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 이어진 <묵고> 연작 작품들을 포함한 총 30여점이 전시된다. 연한 황갈색의 ‘닥’의 본래 모습 그대로를 작가의 손으로 두드리고 다듬어 자연스럽고 투명하게 드러나 있는 작품들과 90년대 초반의 한국적 자연색을 깊이 있으면서 부드럽게 담고 있는 작품들과 어우러져 강렬한 햇빛을 받아 더욱 빛을 발해 화이트 전시공간을 압도하고 있다. 소리 없이 조용하면서도 강렬하게 다가와 그 색채가 더욱 돋보이며, 은은한 향과 멋이 보여지는 이번 전시를 통해 작가가 일관성 있게 심화해온 정신과 물질이 합일치 되는 정창섭 작가의 순수한 작품세계를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다양한 매체와 화려한 색채가 범람하고 있는 오늘, ‘닥 종이’가 가지고 있는 자연의 소박함과 자연 그대로의 조형미를 담아 은은한 여백의 멋이 우리를 매료시킨다. 서구적 합리주의 정신에서 벗어나 동양적 직관에 의한 작업으로 한국 고유의 미와 정서를 표현한 정창섭 작가의 작품은 한국 현대미술의 현주소를 살펴보기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며, 한국 현대미술의 역사가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