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k Seo-Bo: 박서보

Johyun Gallery, Busan, is pleased to present a solo exhibition of Park Seo-Bo, open from April 23 through June 8, 2015. In his seventh solo exhibition at Johyun Gallery, the audience can meet the recent works of Ecriture series Park has been consistently exploring since the 1970s. Underlined with increased depth and wider spectrum of colors, the structured compositions of Park’s large canvas works overwhelm the viewers’ eyes, allowing them to experience the power of the artist and the prominence of contemporary Korean art.
At his age of over eighty, Park just finished a solo exhibition at Galerie Perrotin, Paris, last year. Filling the main exhibition space of the acclaimed gallery of France, he revealed the power of Korean art, and his bold and refined works captured the spotlight and the interests of the European and foreign collectors. Additionally, he is preparing another solo exhibition at Galerie Perrotin in New York for this coming May, and his works will also be showcased in Dansaekhwa, an exhibition curated as part of the Collateral Events of the 56th Venice Biennale. Park’s overseas exhibitions will greatly contribute in establishing a clear presence of contemporary Korean art in the international art history.
Park’s work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periods. Primordialis period from 1957 to the mid 60s, Hereditarius period from the mid 60s to the 70s, Ecriture period from the early 70s to the late 80s, and Post-Ecriture period from the late 80s to the present. Ecriture (猫法) refers to drawing a line as if one were writing, and in French, écriture means “writing.” As the title suggests, Ecriture (猫法) is a product of drawing a line. In his work, he covers a canvas with paint and draws lines with a pencil on the still-wet surfaces. Then he erases the lines with paint and draws lines again. His work is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such act that is repeated over time. In the 1980s, there was a major change in abandoning other types of paper and choosing to use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Fixing multiple layers of wet hanji on a canvas with gel medium, he draws lines using his hand or a stick after soaking the surface with water-based pigments. In his own expression, he repeatedly draws lines in silence like “a monk who endlessly reiterates his chants.” In the 2000s, Park’s Ecriture series evolved from neutral monochromes to colored monochromes. Along with the change in colors, the height of the carved lines became more pronounced, which is particularly more evident from the side view. When looked closely, Park’s hanji piece, where he draws lines countless times, spontaneously and incidentally reveals the unique texture of hanji. It gives a surprising look that is different from how the piece appears from a distance – one intense, solid color. In particular, the Ecriture paintings well embody the Eastern notion of how a painting reaches its completion only after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over time, the concept beyond the Western methodology of painting where a work is completed when the act of painting itself is ended.
Post-Ecriture series featured in this exhibition has undergone work processes developed through strict analysis and meticulous controls. Fifteen small works in various colors inspired by the nature greet the entrance of the exhibition space, while ten large works installed in the main exhibition hall engage the viewers with their weight and grand presence. In Park’s work, we can appreciate his affection towards paint, surface and materials such as hanji. The importance of materials stems from Korean history and culture. The artist focuses on drawing by creating lines, and these lines form rhythmic energies as they get tied with each other in repeated, parallel motions. Through such repeated movements, he becomes aware of himself and pursues his structural, conceptual, and aesthetic objectives, deepening the psychological and transcendental states within his works.
Late art critic Lee Il pointed at Park and said he is an artist you see once a hundred years, as well as Kim Whanki saw Park to be the most important artist to be recorded in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Park came to be considered as the living history of contemporary Korean art, which was possible because of the passion of the artist who still devotes eight hours of a day in painting, and ceaseless challenges he throws to himself. Park introduced abstract art to Korea during the 1950s in the midst of the culturally barren time, and led the life and path of contemporary Korean art over the past sixty years. He creatively realized what was never experienced, or imagined of, by the early contemporary art. The solo exhibition of Park at Johyun Gallery gives a unique experience to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 trajectory of the aesthetic changes pursued by the artist, who has been pioneering contemporary Korean art over a long time with the unique work method of his Ecriture series.
 
조현화랑 부산에서는 2015년 4월 23일부터 6월 8일까지 박서보 개인전을 개최한다. 이번 개인전에서는 작가가 70년대 초부터 일관성 있게 심화해온 ‘묘법’의 최근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한층 더 깊어지고 다양해진 색채사용과 시선을 압도하는 구축적인 화면 구성의 큰 캔버스 작품들로 박서보 작가의 파워와 한국 현대미술의 위상을 알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여든이 넘는 나이에도 불구하고 작년 프랑스 대표적인 갤러리인 파리 페로탱 갤러리에서 본관 전시장을 모두 채운 단독 개인전을 가져 한국미술의 저력을 보여주고 강렬하고 우아한 작품으로 유럽인들을 사로잡아 외국 컬렉터들의 집중적인 주목을 받았다. 또한 올 해 5월에 있을 뉴욕 페로탱 갤러리에서의 개인전과 제 56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미술 특별전인 ‘단색화’전에 앞서 열리는 국내 개인전이기에 더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이다. 박서보의 해외전시는 한국 현대미술의 명확한 입지를 세계미술사에 자리매김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할 것이다.
박서보의 작업세계는 크게 네 가지 시기로 구분 지을 수 있다. 57년에서 60년대 중반까지의 원형질시대, 60년대 중반에서 70년까지의 유전질시대, 70년대 초반에서 80년대 후반으로 이어지는 묘법시대, 그리고 80년대 후반에서 현재까지의 후기 묘법시대이다. 묘법(猫 法)이란 ‘그린 것처럼 긋는 방법’이라고 풀이되며, 프랑스어 Ecriture는 ‘쓰기’란 의미를 지닌다. 제목과 같이 ‘묘법(猫 法), Ecriture’은 선을 긋는 행위의 결과물이다. 캔버스를 물감으로 뒤덮고 그것이 채 마르기도 전에 연필로 선을 긋고, 또 물감으로 지워버리고, 다시 그 위에 선을 긋는 행위를 되풀이하는 과정과 결과가 바로 작품이다. 1980년대부터는 종이 대신 한지를 사용해오고 있다. 여러 겹의 축축한 한지를 젤 미디움을 써서 캔버스에 정착시킨 뒤, 표면을 다시 수성 안료로 촉촉하게 만든 후, 손이나 막대기로 수차례 긋는다. 그에 의하면 ‘마치 스님이 염불을 끝없이 반복하듯’, 묵묵히 반복적으로 계속 긋고 그린다고 한다. 2000년대들어서는 이전의 무채색 중심으로 이루어진 모노톤 화면에서 화려한 색채의 화면으로 변화하게 된다. 색채의 변화와 함께 작품 속 선의 높이 또한 모노톤 작품들에 비해 높아져 작품을 옆에서 보면 선의 높이 변화를 경험하며 즐길 수 있다. 또한 손이나 막대기로 수차례 그어 내려간 한지 작품은 가까이서 보면 한지 특유의 질감이 자연스럽고 우연적으로 나타나 있다. 멀리서 하나의 강렬한 단색으로 만 보여지는 것과는 또 다른 놀라움을 전해 준다. 특히 회화의 행위성이 끝나면서 작품도 끝난다는 서구의 방법론을 넘어 시간이 개입되면서 변화의 과정을 거친 뒤에야 완성에 이른다는 동양 회화의 세계를 잘 담아냈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일 <후기 묘법>은 엄격한 분석과 치밀한 통어에 의해 진척되는 작업과정을 거친 작품들이다.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다양한 색채의 작은 소품 15점이 전시장 입구를 맞이하며 메인 전시장에는 100호 이상의 큰 작품 10여점이 설치되어 그 근엄함과 웅장함으로 관람객을 매료시킬 것이다. 박서보의 작품에는 물감과 표면 그리고 한지 등의 재료에 대한 애정이 나타난다. 이 재료의 중요성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의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선을 그리면서 드로잉에 몰두하는데, 이 선들은 반복과 평행, 서로간의 만남에 의해 리듬감 있는 힘을 나타낸다. 그는 이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 자아를 인식하고 자신의 구조적, 개념적, 미학적 목표를 성취함과 동시에 정신적, 초월적인 상태를 작품 속에 심화시켰다.
작고한 평론가 이일은 박서보를 가리켜 100년에 한 명 나올지 말지 한 작가라고 평가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뉴욕시대의 김환기는 그에 대해 한국 근 현대미술사를 통 들어 가장 크게 기록될 작가라고 말한 바 있다.
박서보가 한국 현대미술의 역사 그 자체로 불리는 것은 여전히 하루에 8시간은 작업한다는 그의 열정과 끊임없는 도전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1950년대 문화 불모지였던 한국미술에 추상미술을 소개한 화가이며, 지난 60여년간 한국 현대미술이 걸어온 길과 맥을 이끌어 왔다. 작가는 일찍이 현대미술이 경험하지 못한 또는 상상도 못했던 것들을 창조적으로 결행하였다. 오랜 기간동안 묘법이라는 독창적인 작업방식으로 한국 현대미술의 선구자의 길을 걷고 있는 박서보의 이번 개인전은 작가가 추구하고자 하는 미학적 변화의 궤적을 경험하는 특별한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