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one 어떤 돌: 안두진

Johyun Gallery, Busan, is pleased to present 27 works of Ahn Doo-Jin, who has been attracting the interests of the Korean art world by finding his own artistic theory and implementing such a concept to his paintings and installations.

 

As a university student, Ahn began to question the minimum unit of images. Under the hypothesis that images have minimum units as matter has minimum units, he established the concept of imaquark. An imaquark is a minimum unit of an image Ahn formulated himself. It is a compound word of “ima-,” taken from the word “image,” and “quark,” the smallest unit of matter. Ultimately, Ahn’s work is a journey of creating a world of formative art, focusing on an organic process where new associations are born from an accumulation of minimum units of imag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indefinite potentials of imaquarks, the artist continues to pursue painterly experiments. His previous work has reveale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 painting conceived from a state of a wonhyung, an original form, composed of imaquarks (the concept of a wonhyung -> the linguistic properties of the conflicts and collisions intrinsic to a wonhyung -> building a nonlinear narrative of a painting through the tense relations of painterly elements and patterns -> the study of a development of a painting from certain conditions through such processes). In the current exhibition, A Stone, Ahn attempts to create a painting itself through experiment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 painting. From a developmental aspect, a painting is composed of different layers of elements, patterns, structures and ambiguity. Each element creates patterns by forming relations to stacking, dividing, mixing, drawing, energy and flatness. Through the mixture of these patterns, the abstractness simulates forms and becomes a threshold of forming a landscape. Although his paintings evoke images of landscapes, they are not landscapes but the beginnings of the developments of the paintings–the births of the paintings themselves.

A painting is similar to the inner structure of natural objects as it is the product of complexity of relations and patterns. Approaching a painting, much alike natural objects, from a developmental aspect could indicate that the inner structure of a painting follows the law of nature.

 

There are three types of stones appearing in Ahn’s current series. They can be largely categorized as a moving stone, growing stone and subdividing stone. These are the stones that arise from the surroundings conceived by a mixture of patterns after removing decorative elements and narratives from Ahn’s previous series. First, these stones disregard size. They are big like rocks and round like small stones. Regardless of size, the shapes of the stones exist by the presence of their weights only, eliminating the significations of stones and rocks. Second, there are movements. Rooted heaviness of rocks does not allow any movement. By enabling the stones to move on their own, the rupturing sounds of the fractures forged by the “heaviness–unpermitted movement” generate meanings. Third, the stones grow. These stones are not just objects anymore and they are no longer mere matter that are molded by their environments only–there are no changes in their appearances other than the effects of weathering.

 

They grow like plants and subdivides as in asexual reproduction. These three types of stones serve the following roles: (1) the tense relation of patterns and collisions–a moving stone, (2) the beginning of a landscape–an association that emerges from conflicts of abstractness, and (3) a painting that expresses itself metaphorically as stones–a circulating metaphor. Through these three roles, the stones will reveal the evolutionary forms of self developing paintings, penetrating through the net of relations of the patterns created by various elements.

 

Ahn’s work reveals the traces of how he studies and contemplates between the philosophical nature of art itself and the endless duty as an artist to present visually. Through the works of Ahn, which offer an original and provocative point of view, we hope to reflect the current address of Korean contemporary art and its future potentials.

 

조현화랑 부산 본관에서는 2014년 11월 14일부터 12월 14일까지 자신만의 미술이론을 정립하고 설치 및 회화에 적용시킴으로써 한국미술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안두진의 작품 27여 점이 소개된다.

 

안두진은 대학시절부터 이미지의 최소단위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고, 물질에 최소한의 단위가 있듯이 이미지에도 최소단위가 있다는 가정하에 ‘이마쿼크’ 라는 개념을 탄생시켰다. 스스로 정립한 ‘이마쿼크’라는 이미지의 최소단위는, Image의 Ima-와 물질을 쪼개었을 때 이르는 최소단위인 Quark의 합성어이다. 그의 작업은 이미지의 최소단위들이 모여 새로운 조합을 형성하는 유기적인 과정에 주목하여 이에 따른 조형세계를 창조한 여정이라 할 수 있다.

 

이마쿼크의 무한한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 작가는 회화적 실험을 이어오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작업이 이마쿼크로 만들어진 원형의 단계에서 회화가 만들어지는 과정(원형의 개념 -> 원형이 가지는 대립과 충돌의 언어적 속성 -> 회화적 요소와 패턴의 긴장관계를 통한 회화의 비선형적 서술 ->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떠한 조건에서 회화가 발생하는 연구)을 보여줬다면, 이번 ‘어떤 돌’ 전에서는 회화의 발생과정에 대한 실험을 통해 회화 그 자체를 만들고자 한다. 발생적 측면에서의 회화’는 요소, 패턴, 구조, 모호성 이라는 층위들로 이루어지는데 각 요소들은 쌓기, 나누기, 뒤섞기와 묘사, 에너지, 평면성과 관계를 형성하여 패턴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패턴들의 조합으로 추상성은 형상을 연상시키고 풍경을 만들어내는 시작이 된다. 회화는 풍경을 연상시키나 풍경이 아닌 회화 발생의 시작으로 회화 그 자체로의 탄생이다.


회화가 관계와 패턴의 복잡성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자연물이 가지는 내적 구조와 유사하다. 자연물에 근접한 회화를 발생적 입장에서 접근한다는 것은 회화의 내적 구조가 자연법칙을 따라간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번 작업에서는 3개의 돌이 등장한다. <움직이는 돌>, <자라나는 돌>, <분리되는 돌> 크게 분류하면 이 세 가지인데 전작에서의 장식성과 내러티브를 제거하고 패턴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환경에서 나타나는 돌들이다. 이 돌들은 첫째로 크기를 무시한다. 마치 바위처럼 거대하고 작은 돌처럼 동그랗다. 크기와 무관한 돌의 모습은 돌과 바위의 메시지를 제거한 채 오직 무게의 존재만으로 상정한다. 두 번째로 움직임이다. 바위가 가지는 뿌리내린 무거움은 절대적으로 움직임을 허락하지 않는다. 이러한 돌을 스스로 움직이게 함으로 ‘무거움- 허락되지 않는 움직임’이 만들어내는 균열의 파열음이 의미를 만들어낸다. 세 번째로 이 돌은 자라나고 있다. 이 돌들은 더 이상 오브제가 아니며 물질로서 환경에 의한 변화- 풍화 작용에 의한 깍임 말곤 외형의 변화가 없다-만 있는 돌들이 아니다. 마치 식물처럼 자라나고 무성 생식처럼 분리되는 돌들이다. 이 3가지 돌들은 회화 안에서 다음의 3가지의 역할을 수행한다. 1)패턴과 충돌의 긴장관계 움직이는 돌 2)풍경의 시작- 추상성의 대립을 통해 발생된 연상 3)돌로써 스스로를 은유 하는 회화-순환하는 메타포 이 세 가지를 통해 돌들은 여러 가지 요소들이 만들어낸 패턴의 관계망을 관통하여 그 자체로 발생하는 회화의 진화적 형태를 보여주게 될 것이다.

 

안두진의 작품은 예술이 가지고 있는 철학적 본성과 시각적으로 끊임없이 보여주어야 하는 예술가의 의무 사이에서 탐구하고 고민한 흔적을 여실히 보여준다. 참신하고 도발적인 시선으로 작업을 이어오고 있는 안두진의 작품을 통해 한국 현대미술의 현주소와 미래의 가능성을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